본문 바로가기

많은 분들께 꿀팁을 지금! 공유하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카스
몸의 이상징후

피부,눈 황달의 원인 및 치료방법

by 리뷰는 즐거워 2021. 2. 4.
반응형

안녕하세요.  Check YourBody입니다. 오늘은 '황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황달은 피부, 결막, 기타 점막들이 노랗게 착색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 목 차 -

1. 황달

2. 황달 원인

3. 황달 증상

4. 치료법

5. 예방법

1. 황달

황달이란 우리몸에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이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축적되어 눈의 흰자와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이 빌리루빈(담즙색소)는 혈색소(헤모글로빈)와 같이 철분을 포함한 특수 단백질이 채네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흐르는 구멍이 막히거나 간장병이 있을 때 생기기도 하며 달병이라고도 불립니다.

황달은 체류성 황달과 역류성 황달로 구분되며 담즘색소의 양이 증가되어 있고 소변에서 검출되지 않을 경우 체류성 황달, 빌리루빈이 혈류로 비정상 유출하는 경우를 역류성 황달이라고 합니다.

 

2. 황달 원인

첫째. 간의 기능이상 또는 주위 장기 질환으로 빌리루빈을 배출하는 능력이 떨어질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췌장암, 담낭암, 담관염, 담석 등)

둘째. 빌리루빈이 과잉생산되어 쌓일 경우 원인이 됩니다.

셋째. 담즙색소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서 혈류에 남아있을 경우 체류성황달의 원인이 됩니다.

넷째. 용혈성빈혈 및 패혈증에 의해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다섯째. 약물이나 독성물질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3. 황달 증상

첫째.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배설되어 소변의 색깔이 짙어지게 됩니다.

둘째.  눈의 흰자위가 황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셋째담즙이 대변에 섞여 나오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대변 색이 연해지기도 합니다.

넷째. 피부의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다섯째. 역류성 황달의 경우 2차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장관 내에 출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4. 치료법

첫째. 원인이 b,c형에 의한 간염일 경우 인터페론, 라미부딘을 이용한 약물치료를 실시합니다.

둘째. 신생아 황달의 경우 빛을 쬐게 해서 빌리루빈의 형태를 변화시켜서 소변으로 배설시킵니다.

셋째. 암,담석 등의 원인으로 황달이 생긴 경우 수술을 실시하여 종양이나 돌을 제거합니다.

넷째. 염증에 의한 황달의 경우 수액요법과 항생제 투여를 실시합니다.

다섯째. 위 방법들로도 치료가 어려울 경우 간 이식을 고려합니다.

 

 

5. 예방법

첫째. 황달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예방해야 합니다.

둘째.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한 황달의 경우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셋째. 체액이나 상처를 통해 간염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면도기,칫솔은 공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넷째. 저지방과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으로 식이요법을 합니다.

다섯째. 검증되지 않은 건강식품이나 동식물 추출물은 함부로 복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지금까지 '황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에는 더 유익한 건강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 추가로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댓글